전체 글
-
2024.02.23(배열)게임 개발 학원/C++ 2024. 2. 23. 17:33
배열 : 같은 자료형을 가진 연속된 메모리 공간으로 이루어진 자료 구조 배열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관리 배열 선언 : 표를 그리는 행위 배열에 데이터 저장 : 표에다가 문자나 숫자를 기록 배열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 : 표의 번호로 숫자와 문자를 구분 같은 자료형을 가진 변수들이 여러개 필요할 때 사용,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때 유용 배열 선언시 배열 길이에 변수X, 상수값만 가능 (const는 가능) 자료형 , 배열의 이름 , 배열의 길이 int arr[10]; //배열 선언(int형 타입의 배열) arr[2]; arr[0] = 1; // 1저장, arr[1]에는 쓰레기값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 1. 크기를 명시하고 초기화 ex) int arr1[4] = { 1, 2, 3, 4 } 2. 배열의 크기를 ..
-
2024.02.22(C#기초)C# & 유니티 2024. 2. 22. 20:04
char C++ 언어에서는 1byte C#에서는 2Byte 캐스팅 형변환 - 암시적 캐스팅 : 더 작은 데이터 유형 -> 큰 데이터 유형 (자동으로 변환, 특별한 구문 필요 x) ex) int -> long - 명시적 형변환 : 큰 데이터 유형 -> 작은 데이터 유형(캐스팅 연산자를 사용,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음) ex) long -> int - Parse :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하는 방법 - 문자열에 변수 넣기 1. Format 메소드 2. 문자열 보간
-
2024.02.21(if문, switch문)게임 개발 학원/C++ 2024. 2. 22. 15:23
if문이란 특정 조건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실행이 가능하다 기본동작 : 조건이 참이면 실행한다 if (조건) { // 참이면 여기를 실행 } else if (조건) // 단독으로 사용 불가능 { // 만약 여기 조건을 만족한다면 아래에 있는 조건들을 전부 건너뛴다 // else도 건너뛴다. } else if (조건) { } else if (조건) { } else // 단독으로 사용 불가능 { // 위 조건이 전부 만족하지 않으면 여기를 실행한다 } switch (표현식) { case 1: // 표현식이 1일 경우 실행 case 2: // 표현식이 2일경우 실행 default: // 표현식이 1, 2 둘다 아닐경우 실행 break; } break : 조건 충족 코드 실행 후, 조건문 빠져나오는 역할 함.
-
2024.02.20 정리(표기법 , 연산자)게임 개발 학원/C++ 2024. 2. 21. 18:03
using namespace std; 사용 네임스페이스 (이름공간) std(standard) 변수 : 데이터를 저장하는 임시 메모리 공간 표기법 - 헝가리안 표기법 : 변수앞에 데이터 타입을 알려줌 ex) bool bNum, int iNum - 카멜 표기법 (낙타) : 첫글자는 소문자로 사용, 다음 단어부터는 대문자로 사용 연산자 1. 대입 연산자 : (데이터를 저장하는 연산자) , = (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에 있는 피연산자에 대입하는 연산을 수행) 2. 산술 연산자 : + , - , * , / , % 3. 관계연산자(비교연산자) -> 결과는 무조건 true(1), false(0) > a>b a가 b보다 크냐 =b a가 b보다 크거나 작냐
-
2024.02.20(메모리 구조)게임 개발 학원/C++ 2024. 2. 20. 18:27
메모리 누수(Memory Leak) : 동적할당한 뒤 해제를 하지 않아 프로그램이 메모리 공간을 계속 유지하여 메모리가 부족해 발생하는 현상 메모리를 직접해제하며 관리하거나 스마트 포인터를 사용하면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고 자동으로 메모리 관리 예기치 못한 변수로 인해 지역변수를 전역변수로 다 옮기면 오류가 생길수도 있음 지역변수 : 안정성 + 함수의 독립성을 유지 Heap overflow : heap이 stack영역을 침범하는것 Stack overflow : stack이 heap영역을 침범하는것 Stack underflow : stack에서 데이터를 삭제하려 할 때,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삭제를 시도하면 발생하는 오류